300x250

    욕실 리모델링

    집안의 리모델링 계획을 세우면서 신경써야 할 공간 중 하나가 바로 옥실입니다. 작은 차이만으로도 큰 효과를 보는 곳이 바로 욕실이기 때문이죠. 일반 가정을 기준으로 욕실만 리모델링해도 완전히 다른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거실과 욕실은 집안의 가족들의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간이라는 특수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욕실 리모델링은 거실, 주방만큼이나 철저하 계획과 함께 꽤 공을 들여서 해야합니다. 각종 배관이 들어가 있으며, 세면대와 욕조위 위치는 어떻게 바꿀 것이냐에 따라서 욕실의 분위기가 달라지기 때문이죠. 새롭게 샤워공간을 따로 만들어 주고 싶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선반, 현장 말로는 젠다이의 유모도 욕실 분위기를 좌우하죠. 그 외에 욕실 인테리어를 할 때 염두해야할 것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죠.

    욕실 타일의 스타일을 정하자

    012

    욕실 리모델링시에 비용과 시간을 가장 많이 잡아먹는 것을 꼽자면 바로 '타일' 입니다. 리모델링을 할 때 욕실은 다른 공간과는 다른게 바닥과 천장, 벽에 타일이 전체적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주방같은 경우에는 타일이 주방의 일부분만 되어 있는 것과는 다르죠. 거기에 타일은 재료값도 들어가지만 인건비가 엄청나게 들어갑니다. 제대로된 타일 전문가의 경우 일당이 20만원 이상이죠.

    0123

    욕실 리모델링시 타일은 그 만큼 중요한 요소입니다. 욕실 타일을 어떻게 교체하느냐에 따라서 욕실 인테리어가 좌우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몇몇 분들께서는 인터리어를 할 때 기존 타일에 페인트를 덮어씌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정말로 비추천하는 방법입니다. 대부분 가격 때문에 이런 방법을 택하는데 아무리 방수가 되는 타일이라고 해도 습기가 자주 차는 화장실의 특성상 언제가는 하자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012

    욕실 리모델링을 계획할 때 타일 스타일에 따라서 욕실이 분위기가 얼마나 달라지는지는 다양한 욕실 사진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인테리어 전문가들은 욕실 인테리어에서 타일이 차지하는 영향을 약 80%로 보고 있습니다. 타일의 색깔, 배치, 종류 등등 여러가지를 생각하고 타일을 배치해야하죠. 대부분의 인테리어 전문가들은 하나 또는 두가지의 욕실타일만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욕실 배관과 누수확인

    0123

    욕실 리모델링에서 타일 다음으로 중요한 요소가 바로 배관입니다. 여기서 배관은 세면대와 욕조, 변기 등등을 포괄하는데요. 욕조나 변기, 세면대를 교체하게 될 때 위치를 변경하신다면 배관도 추가로 설치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잘못하다보면 누수가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배관누수를 꼭 확인하셔야합니다.

    012

    욕실 리모델링 이후에 세면대와 욕조의 배관 누수를 확인하는 것은 간단합니다. 우선 세면대를 30분 정도 틀어놓고 배관에서 물이 잘 내려가는지, 다른 곳으로 세지는 않는지, 아랫집으로 세지 않는지 확인해보는 것이죠. 욕조 누수도 마찬가지입니다. 30분에서 1시간 정도 물을 틀어놓고 세면대와 같은 방법으로 누수를 확인하시는 것이 욕실 인테리어 배관 누수 확인법입니다.

    0123

    욕실 리모델링시에 흔하게 일어나는 일은 아니지만 녹물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대게 오래된 배관에서 나타나게 되는데요. 녹물이 나오는지 확인하는 방법 또한 30분에서 1시간정도 물을 틀어놓고 녹물의 유무를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좌변기도 물내림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타일 작업 중 좌변기가 깨지는 경우도 종종 있기 때문에 욕실 인테리어 후에 좌변기를 전체적으로 다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좌변기가 도기라 생각보다 잘 깨집니다.

    욕실 인테리어 하자이행각서

    012

    욕실 리모델링이 끝났다고 안심할 것이 아닙니다. 사실 맨 처음에 알려드렸어야 할 점이지만 리모델링을 마치게 되면 타일바닥의 양생을 위해서 대게 3일 정도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그런데, 욕실 리모델링이 다 끝났다고 그 전에 잔금을 치루시는 것보다는 양생 이후에 바닥 누수를 확인한 후 잔금을 치루시는 것이 좋습니다. 바닥 방수가 잘 안되어 있다면 재작업으로 하자를 꼭 고쳐달라고 해야합니다.

    0123

    욕실 리모델링을 하기 전에 하자이행각서를 작성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리모델링이란 것이 어떻게 보면 전체적으로 새로 집을 짓는 것보다 많은 부분을 신경써야할 때가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어떤 하자가 나올지는 모르기 때문이죠. 하자이행각서란 법적인 구속력은 있지 않지만, 의뢰인과 작업자 간에 서로 원하는 부분과 하자에 대해서 관련된 내용을 제대로 실행하겠다는 약속과 같습니다.

    300x25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